키야킴은 주로 사소한 일상 속을 들여다보고 관찰하며 관념, 색, 사물을 조합해 평면과 입체 콜라주로 담아낸다. 작가의 작업들은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듣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일상 속 순간들에 집중하여 스스로 참여하고 혹은 수집하는 단계를 거처 이로 인해 작가 사진이 반응하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곧 작가가 말하는 ‘Object Myself’라고 스스로 칭하는 개념적인 의미는 자신의 내면과 외면이 하나의 형태로 보이도록 하는 것인데, 그것이 곧 키야킴 작가가 작품에 사용하는 재료는 곧 자신이며, 자기 자신이 작품 속에 담기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자신 스스로의 내면에서 시작되는 사적인 이야기들을 작품을 통해서 드러내면서 작가는 작가 개인의 이야기가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로 나아가는 형태인 것을 자신의 작업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어린 시절의 인형 놀이에서부터 시작된 자신의 사회적 모습의 기억에서 자신의 작업 형식을 도출했다. 또한 패션에서 이용되는 스타일, 색, 그래픽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자기화 했다. 바비인형과 다양한 사물들의 아상블라주는 완벽한 신체와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회적 흐름에 대한 동조이자 풍자이다.
: 키야킴
키야킴은 주로 사소한 일상 속을 들여다보고 관찰하며 관념, 색, 사물을 조합해 평면과 입체 콜라주로 담아낸다. 작가의 작업들은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듣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일상 속 순간들에 집중하여 스스로 참여하고 혹은 수집하는 단계를 거처 이로 인해 작가 사진이 반응하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곧 작가가 말하는 ‘Object Myself’라고 스스로 칭하는 개념적인 의미는 자신의 내면과 외면이 하나의 형태로 보이도록 하는 것인데, 그것이 곧 키야킴 작가가 작품에 사용하는 재료는 곧 자신이며, 자기 자신이 작품 속에 담기는 것을 의미한다.
작가는 어린 시절의 인형 놀이에서부터 시작된 자신의 사회적 모습의 기억에서 자신의 작업 형식을 도출했다. 또한 패션에서 이용되는 스타일, 색, 그래픽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자기화 했다. 바비인형과 다양한 사물들의 아상블라주는 완벽한 신체와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회적 흐름에 대한 동조이자 풍자이다.